조각2 경계에서 피어난 자리, 유화수 유화수의 예술은 단순한 시각적 경험을 넘어선 ‘사회적 사유의 장’입니다. 그는 예술을 통해 우리가 외면했던 존재들을 호명하고, 주류 서사에 균열을 내며, 익숙한 기준을 흔드는 감각적 장치를 만들어냅니다. 그의 작품은 아름다움보다는 질문을 던지고, 화려함보다는 조용한 감각에 의존하며, 감상보다는 참여를 유도합니다.‘잡초’가 자라는 자리, ‘몸짓’이 반복되는 공간, ‘손’이 닿은 흔적들은 모두 유화수의 예술 안에서 하나의 언어가 됩니다. 그리고 그 언어는 소외된 존재들의 삶을 기록하고, 그것을 마주한 관객의 감각과 윤리를 되묻습니다. 유화수의 예술은 지금 이 세계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다시 묻는 조용하지만 강력한 선언입니다.조형의 손끝에서 시작된 시선유화수 작가는 동국대학교에서 조소를 전공한 후 동 대학원에.. 2025. 4. 13. 대지에 새긴 사유, Walter De Maria 월터 드 마리아는 조각의 개념을 넘어서, 자연과 인간의 관계, 시간과 공간의 흐름, 존재와 비가시성의 경계에 대해 깊이 성찰한 예술가입니다. 그의 작품은 거대한 스케일에도 불구하고, 감각적으로는 고요하고 명상적인 울림을 남깁니다.대지미술의 한계를 확장시킨 그는 예술을 단순한 시각적 오브제가 아닌 존재론적 경험으로 탈바꿈시켰고, 그 영향은 오늘날 설치미술, 환경예술, 체험예술 전반에 뚜렷하게 남아 있습니다. 자연을 매개로 예술을 사유의 장으로 끌어들인 그의 궤적은 여전히 깊은 영감을 줍니다.사막 위에 선 빛의 숲 — The Lightning Field1977년, 뉴멕시코의 황량한 사막 한가운데 설치된 The Lightning Field는 월터 드 마리아의 대표작이자 대지미술의 상징적인 유산으로 남아 있습니.. 2025. 4. 12. 이전 1 다음